2022. 2. 25. 10:56ㆍ부자가 되겠어
금리가 오르는 시기입니다. 어제 2월 24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1.25%로 동결되었습니다. 다음 기준금리 결정일은 4월 14일입니다.
오늘은 새마을금고 지점별 금리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새마을금고는 거주지역 또는 근무지역이어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
신분증은 필수로 필요하고요. 근무자는 회사 명함만 있어도 계좌를 만들 수 있는 지점이 있는 반면 회사 직인이 찍힌 가입일의 재직증명서가 필요한 지점도 있습니다. •̀ㅅ•́
따라서 본인의 집이나 회사에서 조금 거리가 있는 새마을금고에 계좌를 만들고 싶다면 해당 금고에 전화를 걸어 미리 필요한 서류나 거주지, 근무지에 따른 가입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게 편합니다. 지점별로 출자금통장의 최소가입금액도 다르니 미리 확인해두세요.
그럼 새마을금고 홈페이지에서 지점별 금리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새마을금고 홈페이지의 오른쪽 상단에서 금고위치안내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팝업창이 하나 뜨는데요. 저는 성수에 있는 회사에 다니고 있어서 서울 성동구를 선택했습니다.
성동구도 범위가 넓기 때문에 성수동의 금고를 확인하기 위해 검색창에 성수를 입력하고 검색합니다.
범위가 4개로 줄었습니다. 저는 이미 회사에서 가까운 성수역지점의 계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회사에서 조금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성수2가1동 본점의 금리를 확인해보겠습니다. 금리를 클릭해주세요!
요구불예탁금은 시중은행의 수시입출금통장과 같습니다. 거치식예탁금은 예금, 적립식예탁금은 적금입니다. 저는 예금풍차를 위한 예금상품의 금리를 확인하고 싶으니 거치식예탁금을 선택합니다.
짠! 이제 해당 지점에서 취급하는 예금상품과 금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같은 새마을금고여도 지점별로 취급하는 상품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 지점에는 있는 상품이 다른 지점에는 없을 수도 있습니다.
성수역지점과 성수2가1동 본점을 비교해 본 결과, 성수2가1동 본점이 금리가 더 높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д<) 과거의 나 자신, 똘마니 사원 시절이라 회사에서 멀리 있는 지점의 계좌를 만들러 다녀올 용기가 없었습니다.
성수역점은 회사 명함만 있어도 계좌개설이 가능했지만, 성수2가1동 본점은 재직증명서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성수역점은 출자금통장에 5만 원이 필요했는데 성수2가1동 본점은 2만 원이면 된다고 해요. ୧(๑•̀ᗝ•́)૭
진작에 성수2가1동 본점에서 가입했다면 이자도 많이 받고 출자금도 아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지만 지금이라도 알았으니 됐습니다. 여러분도 잘 비교해보시고 현명한 선택을 하시길! ٩(•́⌄•́๑)و
'부자가 되겠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씨엔씨 공모주 비례 청약 수익 약 2만 원 (0) | 2022.03.07 |
---|---|
예금풍차: 두 번째 날개 (새마을금고 예금 비대면 가입하기) (1) | 2022.02.25 |
2022년, 예금풍차를 돌려보자! (0) | 2022.02.23 |
KB국민은행 청년희망적금 가입 내역 확인하기 (0) | 2022.02.21 |
청년내일채움공제 3년형 만기 수령 후기 ⸜(*ˊᗜˋ*)⸝ (1) | 2022.02.17 |